수면과 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최근에는 수면 부족이 각종 질병과 연관이 있다는 것은 상식이 됐다. 제2형 당뇨병, 심장질환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불러오는 비만 역시 수면과의 연관성이 있다. 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비만한 사람이 늦게 자는 습관을 지니고 있으면 당뇨병과 심장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이탈리아 나폴리페데리코2세대학교의
2021-05-18 오후 1:57:06
두통은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흔한 증상이다. 하지만 두통은 환자만이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이기 때문에 표현이나 강도가 다를 수 있고, 이를 진단하기 위한 객관적인 자료가 명확하지 않아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힘들다. 가벼운 두통은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진통제, 짧은 휴식을 통해 완화될 수 있지만, 심할 경우 드물게 뇌졸중, 종양, 혈액 응고까지 생길 수
2021-05-18 오전 9:05:23
우리는 목이 마를 때 대부분 그 이유를 알고 있다. 물을 몇 시간 이상 마시지 못했거나, 더운 여름날 땀을 흘렸을 때, 운동 후, 또는 짭짤한 음식을 먹은 뒤 우리는 갈증과 입 마름을 느낀다.그러나 평소처럼 물을 마셨고, 바깥이 서늘하고, 운동을 하지 않았고, 짠 음식을 먹지 않았는데도 지난 며칠 또는 몇 주간 목이 심하게 마르다고 느끼고, 갈증이 좀처럼
2021-05-18 오전 8:46:26
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에 미치는 일반적인 영향은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이러스와 연관성이 있는 ‘코비드 발가락’, ‘코비드 혀’, 그리고 탈모를 포함한 특이한 증상들도 계속해서 알려지고 있다. 그 중 ‘코비드 손톱’이라고 하는 증상은 ‘보우선(Beau’s lines)이라고 불리는 하얀 수평선이 손톱에 생기는 증상이다. 이달 초 영국의 한 역학자는 ‘코비
2021-05-17 오후 5:58:37
입에서 냄새가 나는 증상인 구취는 스스로 깨닫는 경우는 10명 중 1명 정도로 매우 적으며, 다른 사람들의 반응으로 인해 비로소 의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특별히 심한 입 냄새는 주위 사람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그 중 약 60% 정도는 의학적 대처가 필요한 병이 숨어 있는 경우이므로, 입 냄새가 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면 원인을 알아내는 것이 필요하
2021-05-17 오후 5:48:39
누구나 양치질을 하다가 잇몸에서 피가 났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물리적인 요인 외에도 치은염, 치주 질환으로 인한 잇몸 출혈은 매우 흔한 증상으로, 한국인이 두 번째로 많이 앓고 있는 질환이라고 보고될 정도다.잇몸 출혈은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지만, 대수롭게 여기지 않고 방치할 경우 입 속의 세균과 염증 물질이 혈관을 타고 들어가 심혈관 질
2021-05-17 오후 5:46:37
마음의 상처는 극복하기는 어렵다. 특히 가까운 사람에게서 받은 마음의 상처는 극복하기도 어렵지만, 계속해서 상처를 준 가해자와 관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더 고통스럽다. 살면서 누군가는 상처를 받고 누군가는 상처를 줄 수밖에 없다면, 가해자와 피해자가 어떻게 관계를 회복할 수 있을까? Psychology Today의 Steven Stosny 교수가 마음의
2021-05-17 오후 5:40:12
매달 찾아와 여성들을 아프게 하는 생리통. 많은 이들이 이 아픔을 생리통약을 먹으며 버틴다. 그런데 반복해서 먹으면 약효가 떨어져 더 많은 양을 먹어야 한다, 몸에 안 좋으니 그냥 참는 게 낫다는 등 생리통약에 대한 여러 이야기가 많다. 정말 그럴까. 산부인과 의사 5인과 약사가 생리통약을 둘러싼 궁금증에 대해 답했다.Q. 생리통약, 자주 먹으면 내성 생기
2021-05-17 오후 5:27:12
매주 월요일 아침은 주말을 푹 쉬었음에도 불구하고 피곤하다. 찌뿌둥한 몸을 이끌고 하루를 시작하면 종일 피로가 쌓여 이튿날도 그다음 날도 계속 피곤하게 되고 다시 주말에 밀린 피로를 풀 수밖에 없다. 어떻게 해야 상쾌한 하루를 시작할 수 있을까?장다현 운동전문가는 하이닥과 함께 아침에 하면 좋은 스트레칭에 대해 소개했다. 장다현 운동전문가는 아침 스트레칭이
2021-05-17 오후 5:16:23
당뇨병 환자에게 식단 관리는 평생에 걸친 숙제와 같다. 치료, 약 복용과 더불어 평상시 식단 조절을 통해 혈당을 관리해야만 각종 합병증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을 먹으니깐 괜찮겠지', '식단을 짜는 건 너무 어려워' 등의 안일한 생각으로 식단 조절을 소홀히 하는 당뇨병 환자가 적지 않다.식단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당뇨병 환자들을 위
2021-05-17 오후 3:47:12